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제로베이스]UXUI디자인스쿨_WEEK 07 (4)

UXUI 학습일지

by seinhyun 2023. 2. 16. 19:25

본문

📍TO DO LIST

A. 실무 프로세스(스타트업_리디) : Chapter 1 / Chapter 2

B. 레퍼런스 분석

C. UX Designer Essay 작성

D. Group project






A.실무 프로세스(스타트업_리디)

[Chapter 1.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일하는 방법]
[Chapter 2. 탄탄한 포트폴리오 만들기]




실무 프로세스 및 노하우_스타트업(리디_콘텐츠 플랫폼) 강의내용 정리본 중 일부




벌써 절반이 넘는 강의를 들었다. 3번째인 스타트업의 차례가 되었다. 한가지 주목해야할 점은 UIUX디자이너라는 호칭이 아닌, Product Designer라는 호칭이다. 강의 내용에 따르면,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직업의 호칭역시 변화가 따른다. 그리고 UXUI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환경은 Web에서 Mobile로 변경되었다. Web 디자이너가 App디자이너/Mobile디자이너로 변화한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모바일 디자이너는 UIUX Designer라는 호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사용자의 경험 개선의 영역까지도 관여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현재는 Product Designer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다시말해, 담당하는 영역이 확장된 것이다. 도메인이라는 디바이스 중심의 프로세스에서 서비스 전반을 다루는 프로세스 중심의 디자인으로 변화한 것이다.






B. 레퍼런스 분석
[Day Trip 레퍼런스 분석]





지금까지 레퍼런스 분석 과정에 대해서 작성하지 않았다. 어차피 글은 포스팅 될 것이고, 결과물이 블로그에 존재한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스토리텔링을 강조하는 여러 강사님들의 말씀과 다양한 글을 작성해보라고 하셨던 실무 프로세스 및 노하우 김민효 강사님의 말씀을 교훈삼아 조금이나마 적어보고자 한다.








레퍼런스 작성을 위한 준비_Rough Guide



레퍼런스 분석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그만큼 많은 노력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적어도 내게는 그런것 같다. 분석할 앱을 선정하는 것 조차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언젠가 선택한 앱과 유사한 카테고리인지, 어떤 부분에서 분석할 부분이 존재하는지 등에 대한 고려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앱 분석이 시작된다.

처음 레퍼런스를 작성할때는 무작정 캡쳐부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고 경험이 쌓여가면서부터 레퍼런스 분석에 대한 스텝을 알게되었고, 점차 형식이 만들어졌다.그리고 이제는 연습장에 분석할 화면에 대해 러프하게나마 가이드 작성 후 진행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위의 이미지와 같이 가이드를 작성한다. 앱을 사용해보며, 어떠한 모션에 대해 어떤식으로 화면이 반응하는지 등을 적는다. 개선점도 이 과정에서 도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을 지나면, 피그마를 사용해 레퍼런스 분석에 사용할 이미지를 제작하고, 글을 작성해 업로드하게 된다.

데일리일지를 확인해보면 2시간, 빠르게는 1시간만에 레퍼런스 작성을 끝내신다는 분들이 있던데, 사실 그분들이 너무 부러웠다. 이러한 과정 없이도 포인트를 빠르게 캐치해낼 수 있다는 말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제 프로세스도 점차 적응되고 있고, 형식도 구체화 되고 있는 모습을 보면 그나마 위안이 되는 듯 하다. 글 작성하는 것을 좋아하는 편은 아니기에 더욱 곤란한 작업이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 보아야겠다.












관련글 더보기